주유할 때 시동을 꺼야할까?

안녕하세요, 친구들! 오늘은 차량을 주유할 때 왜 시동을 꺼야 하는지, 그리고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.

주유-시동

시동을 꺼야하는 이유

먼저 시동을 꺼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엔진이 작동 중일 때 발생하는 정전기나 스파크가 유증기와 만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.

“그럼 실제로 어떤 법적 제재가 있을까?”라고 물어본다면, ‘위험물안전관리법’이 제시하고 있어요. 이 법에 따르면, 가솔린이나 디젤 등 인화점 40℃ 미만의 위험물을 차량에 주유할 때는 반드시 시동을 끄라고 되어 있어요.

가솔린

가솔린의 인화점이 -43℃니까 사실상 가솔린을 넣는 모든 차량은 주유 중에는 시동을 꺼야 합니다.

이게 안 지켜지면 과태료가 200만 원까지 나올 수 있어요. 근데 여기서 재밌는 건, 이 과태료는 운전자가 아닌 주유소에 부과되는 거라서, 운전자들이 이걸 잘 모르거나 신경을 안 쓰는 경우가 많답니다.

디젤

그럼 디젤 차량은 어떨까요?

디젤의 인화점은 약 55℃ 이상이라서 위험물안전관리법에는 저촉되지 않아요.

하지만 여기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‘공회전 제한 규정’이라는 것이 있어요. 이건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, 예를 들어 서울시에서는 2분 이상 공회전을 하면 5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답니다. 그러니 디젤 차량 역시 주유 중에는 시동을 끄는 게 좋겠죠?

터보

터보 차량은 어떨까요? 터보 차량의 경우 고속주행 후에는 터보차저가 고온 상태로 있기 때문에 시동을 바로 끄면 터보차저에 무리가 간다고 해요. 그래서 고속도로 주유소에 도착하기 1~2km 전에는 저RPM으로 후열을 충분히 하면서 주행하는 게 차를 잘 관리하는 방법이라는 거예요.

휘발유

휘발유 사고도 생각해봐야 해요. 만약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휘발유가 되면 연료가 엔진까지 유입되어 엔진을 통째로 수리해야 할 수도 있다는 거죠.

이런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주유 중에는 반드시 시동을 꺼야 합니다.

만약 혼유 사고가 발생했다면, 시동을 바로 켜지 말고 보험사나 정비업체에 연락해서 해결해야 한다는 거 잊지 마세요.

요약하자면, 휘발유 중에는 항상 시동을 꺼야 한다는 거죠.

안전을 위해서라도, 그리고 혹시 모를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말이죠.

지금까지 주유중 시동을 꺼야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